메이플 리프 푸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메이플 리프 푸즈는 1991년 캐나다 패커스와 메이플 리프 밀스의 합병으로 설립된 캐나다의 식품 회사이다. 캐나다 최대의 농업 기업 중 하나로, 가금류 및 돼지 농장을 운영하며, 육류 가공, 식물성 단백질 제품 생산을 주요 사업으로 한다. 2008년 리스테리아균 오염 사태, 2021년 빵 가격 담합 혐의 등 사회적 책임을 묻는 논란이 있었으며, 2014년에는 자회사인 캐나다 브레드를 그루포 빔보에 매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캐나다의 식품회사 - 비버테일즈
비버테일즈는 1978년 후커 부부가 처음 판매하기 시작하여 1980년 오타와에 첫 매장을 연 캐나다의 인기 페이스트리 브랜드로, 얇고 길쭉한 튀긴 반죽에 다양한 토핑을 얹어 먹는 '비버테일'이라는 간식을 판매한다. - 1927년 설립된 기업 - 카와이 악기 제작소
카와이 악기 제작소는 1886년 일본에서 설립되어 피아노를 주로 제작하며, ABS 수지 등 대체 소재를 활용하여 성능 향상을 추구하는 악기 제조 회사이다. - 1927년 설립된 기업 - 메리어트 인터내셔널
메리어트 인터내셔널은 1927년 워싱턴 D.C.에서 시작하여 호텔 체인 사업을 확장, 2016년 스타우드 호텔 & 리조트를 인수하여 세계 최대의 호텔 기업이 되었다. - 토론토의 기업 - CBC 텔레비전
CBC 텔레비전은 캐나다 공영 방송 CBC/Radio-Canada의 영어 텔레비전 네트워크로, 뉴스,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을 방송하며, 《더 내셔널》, 지역 뉴스, 《하키 나이트 인 캐나다》 등의 주요 프로그램과 CBC Gem을 통한 온라인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한다. - 토론토의 기업 - 토론토 증권거래소
토론토 증권거래소(TSX)는 1861년 설립되어 캐나다 주식 거래의 중심지로서 TMX 그룹 설립, 전자 거래 시스템 도입, S&P/TSX 종합 지수 출시 등의 성장을 거듭하며 캐나다 금융 시장의 핵심 역할을 수행하는 캐나다 주요 증권거래소이다.
메이플 리프 푸즈 - [회사]에 관한 문서 | |
---|---|
회사 정보 | |
회사명 | 메이플 리프 푸즈 |
영문 회사명 | Maple Leaf Foods Inc. |
![]() | |
회사 종류 | 공개 |
산업 분야 | 식품 포장 |
설립일 | 1927년 |
본사 위치 | 6897 Financial Drive 미시소거, 온타리오 주 캐나다 |
서비스 지역 | 캐나다 미국 |
직원 수 | 24,000명 |
직원 수 기준 년도 | 2008년 |
웹사이트 | 메이플 리프 푸즈 공식 웹사이트 |
경영진 | |
회장 | 마이클 맥케인 |
사장 겸 CEO | 커티스 프랭크 |
최고 재무 책임자 (CFO) | 게르트 베렐렌 |
재무 정보 | |
수익 | 39억 4천만 (2019년) |
순이익 | 8천만 (2019년) |
자산 | 35억 1천만 (2019년) |
자본 | 19억 5천만 (2019년) |
이전 회사 |
2. 역사
메이플 리프 푸즈는 1991년 캐나다 패커스(Canada Packers)와 메이플 리프 밀스(Maple Leaf Mills)의 합병으로 탄생했다.[8]
캐나다 패커스와 메이플 리프 밀스에 대한 간략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회사명 | 설명 |
---|---|
캐나다 패커스(Canada Packers) | 1927년 토론토의 여러 육가공업체 합병으로 설립. 윌리엄 데이비스 컴퍼니(William Davies Company)가 중심. 설립 직후 캐나다 최대 식품 가공업체가 됨 (60년간 유지).[4] 1930년대부터 메이플 리프 브랜드 사용. 영국으로 돼지고기 수출, 토론토가 "호그타운" 별명 획득. 서부로 확장해 최대 소 도축업체. 1944년 무두질 산업 진출, 비어드모어 & Co.(Beardmore & Co) 인수.[4] 1950년대 아이스크림, 치즈, 통조림, 냉동 과채 등으로 사업 확장, 요크 브랜드 사용. 1975년 캐나다 14위 기업.[5] 1980년대 경영난, 일부 시설 폐쇄. 스쿼럴 땅콩 버터, 블랙 다이아몬드 치즈 등 브랜드 인수. |
메이플 리프 밀스(Maple Leaf Mills) | 1961년 메이플 리프 밀링, 토론토 엘리베이터스, 퓨리티 플라워 밀스 합병.[6] 기원은 1836년 온타리오 주 세인트 캐서린스(St. Catharines)의 그란섬 밀스.[6] |
1989년, 캐나다 패커스를 지배해 온 맥클린 가문은 회사 지분 매각 의사를 발표했다. 1990년 지배 지분은 영국 힐스다운 홀딩스(Hillsdown Holdings)로 넘어갔고, 힐스다운 홀딩스는 이미 메이플 리프 밀스를 소유하고 있었다. 이는 캐나다 패커스가 자신의 주식과 교환하여 메이플 리프 밀스를 매입하는 복잡한 거래를 통해 이루어졌다.[7]
1991년, 합병된 회사는 '''메이플 리프 푸즈(Maple Leaf Foods)'''로 이름을 변경했다.[8] 이후, 회사는 뎀스터스(Dempster's) 브랜드로 가장 잘 알려진 대규모 제빵 사업부를 포함하게 되었다. 데이비드 뉴턴(David Newton) CEO, 루이스 로즈(Lewis Rose) CFO의 구조 조정으로, 회사는 대부분의 도축장을 매각하거나 폐쇄하여 수익성을 회복했다.
1995년, 맥케인 푸즈(McCain Foods)의 전 공동 CEO였던 월리스 맥케인(Wallace McCain)이 온타리오 교직원 연금 계획(Ontario Teachers' Pension Plan)과 함께 회사를 인수했다. 2002년,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둔 그레이스 베이킹 컴퍼니(Grace Baking Company)를 인수했다.[9] 2003년, 경쟁 육가공업체인 '''슈나이더 푸즈(Schneider Foods)'''를 인수했다. 메이플 리프 푸즈는 캐나다 최대의 농업 기업 중 하나로, 전국에 가금류 및 돼지 농장을 소유하고 있으며, 브랜든(Brandon, Manitoba)에 주요 도축장이 있다.
2014년 제빵 사업부 (캐나다 브레드(Canada Bread) 컴퍼니) 매각을 마지막으로,[31] 메이플 리프는 현재 신선 및 가공 육류, 그리고 Lightlife와 Field Roast 인수를 통해 식물성 단백질 제품만을 생산하고 판매한다.[6]
2018년 말, 온타리오주 세인트 메리스, 브램턴 및 토론토의 오래된 공장 폐쇄 후, 런던(London, Ontario)에 새로운 가금류 공장을 건설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60,000제곱미터 규모의 이 시설 건설 비용은 온타리오 주 정부로부터 3450만캐나다 달러, 연방 정부로부터 2800만캐나다 달러를 포함하여 6억캐나다 달러 이상으로 추산되었다. 당시 CEO 마이클 맥케인(Michael McCain)은 "50~60년 된 시설이며, 위치, 부지 면적 또는 인프라로 인해 심각한 성장이 제한되어 있으며 생산 능력이 거의 한계에 도달했기" 때문에 폐쇄가 불가피하다고 언급했다. 2018년 11월 현재, 회사는 캐나다 전역에서 11,000명 이상의 직원을 고용, 20개 이상의 글로벌 시장에서 제품을 판매하고 있었다.[10]
2020년 1월, CEO 마이클 맥케인은 우크라이나 국제 항공 752편(Ukraine International Airlines Flight 752) 격추 전 사건과 관련, "워싱턴의 나르시시스트"를 비판하는 트윗으로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12] "위기 관리의 롤 모델"[13]로 언급된 맥케인은 "인간성"[14] 때문에 일부의 칭찬을 받았지만, 회사 보이콧 촉구에 대한 반작용으로 주주 우선주의를 대체했다는 비판도 받았다.[11]
2021년 2월, 회사는 "캐나다 빵 산업에 대한 경쟁국(Competition Bureau)의 진행 중인 조사" 대상임을 인정, 가격 담합 혐의 및 관련 증권 공개 문제를 포함한다고 밝혔다. 또한 "이러한 또는 기타 법적 문제의 불리한 해결은 회사, 재정 상태 및 평판에 중대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라고 언급했다.[15] 2021년, 회사는 전 자회사 캐나다 브레드 및 현재 모회사인 그룹 비엠보(Grupo Bimbo) 등과 함께 빵 가격 담합 집단 소송의 피고로 지명되었다.[16]
2022년 5월, 마이클 맥케인(Michael McCain)은 2023년 연례 회의까지 회장직을 맡고 CEO 직책을 커티스 프랭크(Curtis Frank)에게 넘길 것이라고 발표했다.[17] 2023년 5월 11일, 커티스 프랭크가 CEO로 임명되었다.
2008년에는 리스테리아증이 발생하여 22명이 사망하고 35명 이상이 질병에 걸리는 사건이 있었다.[21]
2. 1. 캐나다 패커스 (Canada Packers)
1927년, 토론토의 여러 주요 육가공업체들이 합병하여 캐나다 패커스(Canada Packers)가 설립되었다. 윌리엄 데이비스 컴퍼니(William Davies Company)가 중심적인 역할을 했으며, 설립 직후 캐나다 최대의 식품 가공업체가 되었다. 이는 이후 60년 동안 유지될 기록이었다.[4] 1930년대부터 돼지고기 제품에 '메이플 리프(Maple Leaf)' 브랜드를 사용했으며, 영국으로의 돼지고기 수출을 통해 토론토가 "호그타운(Hogtown)"이라는 별명을 얻는 데 기여했다. 서부 캐나다로 사업을 확장하면서 캐나다 최대의 소 도축업체가 되었다.
1944년에는 무두질 산업에도 진출하여 비어드모어 & Co.(Beardmore & Co)를 인수했다.[4] 1950년대에는 아이스크림, 치즈, 통조림 및 냉동 과일과 채소 등 다양한 식품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요크(York)' 브랜드를 사용했다. 1975년에는 캐나다에서 14번째로 큰 기업으로 선정되었다.[5]
1980년대에 들어서 캐나다 패커스는 경영난을 겪으며 무두질 공장을 포함한 일부 시설을 폐쇄했다. 스쿼럴 땅콩 버터, 블랙 다이아몬드 치즈 등 유명 브랜드를 인수하며 사업 다각화를 모색했다.
2. 2. 메이플 리프 밀스 (Maple Leaf Mills)
메이플 리프 밀스(Maple Leaf Mills)는 1961년 메이플 리프 밀링 컴퍼니 리미티드(Maple Leaf Milling Company Limited), 토론토 엘리베이터스 리미티드(Toronto Elevators Limited), 퓨리티 플라워 밀스 리미티드(Purity Flour Mills Limited)가 합병되어 설립되었다.[6] 이 회사의 기원은 1836년 온타리오 주 세인트 캐서린스(St. Catharines)에 건설된 그란섬 밀스(Grantham Mills)까지 거슬러 올라간다.[6]2. 3. 메이플 리프 푸즈 (Maple Leaf Foods)
1990년, 캐나다 패커스의 지배 지분이 영국의 힐스다운 홀딩스(Hillsdown Holdings)로 넘어가면서, 이미 힐스다운 홀딩스가 소유하고 있던 메이플 리프 밀스와 합병이 추진되었다. 1991년에 합병된 회사는 '''메이플 리프 푸즈(Maple Leaf Foods)'''로 사명을 변경하였고,[8] 뎀스터스(Dempster's) 브랜드를 포함한 제빵 사업부를 보유하게 되었다.데이비드 뉴턴(David Newton) CEO와 루이스 로즈(Lewis Rose) CFO의 구조 조정으로, 회사는 대부분의 도축장을 매각하거나 폐쇄하여 수익성을 회복했다.
1995년, 맥케인 푸즈(McCain Foods)의 전 공동 CEO였던 월리스 맥케인(Wallace McCain)이 온타리오 교직원 연금 계획(Ontario Teachers' Pension Plan)과 함께 회사를 인수했다. 2002년, 샌프란시스코에 본사를 둔 그레이스 베이킹 컴퍼니(Grace Baking Company)를 인수했고,[9] 2003년에는 경쟁 육가공업체인 '''슈나이더 푸즈(Schneider Foods)'''를 인수했다.
메이플 리프 푸즈는 캐나다 최대의 농업 기업 중 하나로, 전국에 가금류 및 돼지 농장을 소유하고 있으며, 브랜든(Brandon, Manitoba)에 주요 도축장이 있다.
2. 4. Mitchell's Gourmet Foods
1940년 프레드 멘델이 서스캐툰에 Intercontinental Packers를 설립하면서 사업은 시작되었다. 전쟁 기간 동안 통조림 육류 제품은 미국으로, 베이컨은 영국으로 수출되었다. 1998년, 가족 경영 기업은 Mitchell's Gourmet Foods로 이름을 변경했다.[18]1999년 슈나이더 코퍼레이션과 제휴를 맺었고, 2002년 11월 12일에 슈나이더에 매각되었다. 2003년 9월 25일, 슈나이더는 메이플 리프 푸즈에 인수되었다. Mitchell's는 슈나이더 푸즈의 독립 운영 회사로 계속 남아 있었다. 그러나 2006년 10월 12일, Mitchell's의 소유주인 메이플 리프 푸즈는 향후 3년 동안 서스캐툰의 주요 공장을 폐쇄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8]
2007년 3월 1일, 메이플 리프 푸즈는 서스캐툰 도축장의 절단/도살 부서 운영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마지막 운영일은 2009년 6월 1일이었다.
3. 주요 사업
메이플 리프 푸즈는 신선 및 가공 육류와 식물성 단백질 제품을 생산, 판매하는 기업이다. 1991년 캐나다 패커스(Canada Packers)와 메이플 리프 밀스(Maple Leaf Mills)의 합병으로 탄생했다.
캐나다 패커스는 1927년 토론토의 여러 육가공업체들의 합병으로 설립되어 캐나다 최대의 식품 가공업체가 되었다. 메이플 리프 밀스는 1961년에 설립되었으며, 그 기원은 1836년 온타리오 주 세인트 캐서린스(St. Catharines)에 건설된 그란섬 밀스(Grantham Mills)로 거슬러 올라간다.[6]
1990년, 캐나다 패커스는 메이플 리프 밀스를 소유하고 있던 영국 힐스다운 홀딩스(Hillsdown Holdings)에 인수되었고, 1991년 두 회사는 합병하여 메이플 리프 푸즈(Maple Leaf Foods)로 이름을 변경했다.[8] 이후, 맥케인 푸즈(McCain Foods)의 전 공동 CEO였던 월리스 맥케인(Wallace McCain)이 1995년 회사를 인수했다.[9] 2003년에는 경쟁 육가공업체인 슈나이더 푸즈(Schneider Foods)를 인수했다.
2014년 제빵 사업부 (캐나다 브레드(Canada Bread) 컴퍼니)를 매각한 후,[31] 현재는 육류 및 식물성 단백질 제품 생산에 주력하고 있다. 2018년 말, 런던(London, Ontario)에 새로운 가금류 공장을 건설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 시설 건설에는 6억캐나다 달러 이상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되었으며, 온타리오 주 정부와 연방 정부의 지원도 포함되었다.[10]
3. 1. 육류 가공
메이플 리프 푸즈는 돼지고기, 가금류 등 다양한 육류 제품을 가공하여 판매한다. 1991년 캐나다 패커스(Canada Packers)와 메이플 리프 밀스(Maple Leaf Mills)가 합병하여 탄생했으며, 합병 이전 캐나다 패커스는 1930년대부터 이미 '메이플 리프(Maple Leaf)'라는 브랜드 이름으로 돼지고기 제품을 판매했다.[4]자체 브랜드뿐만 아니라 다양한 리테일 브랜드 제품도 생산하며, 주요 도축장은 브랜든(Brandon, Manitoba)에 있다. 2003년에는 경쟁 육가공업체인 슈나이더 푸즈(Schneider Foods)를 인수했다.[6]
3. 2. 식물성 단백질
메이플 리프 푸즈는 2017년 라이트라이프(Lightlife)를 인수하며 식물성 단백질 시장에 진출했고, 2018년에는 필드 로스트(Field Roast)를 인수하여 해당 사업을 강화했다.[6] 이 회사는 햄버거, 소시지 등 다양한 육류 대체 제품을 생산 및 판매하고 있다.2019년 4월, 메이플 리프 푸즈는 인디애나주 셸비빌에 230,000 평방 피트 규모의 식물성 단백질 가공 공장을 건설하여 육류 대체 제품 생산을 확대할 계획을 발표했다. 이 공장은 2020년 말 완공 시 북미 최대 규모가 될 예정이었다.[19] 그러나 2021년 1월, 메이플 리프 푸즈는 셸비빌 공장 건설 대신 인디애나폴리스에 있는 기존 공장을 구매하는 것으로 계획을 변경했다.[20]
4. 사회적 책임 및 논란
메이플 리프 푸즈는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으로 알려져 있지만, 몇 가지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다.
2008년 토론토 공장 육류 제품에서 리스테리아균이 검출되어 대규모 리콜 사태를 겪었고, 이와 관련하여 캐나다 식품 검사청(CFIA)의 검사 시스템 허점이 드러나 논란이 되었다. 2009년에는 해밀턴 공장 비엔나 소시지 제품에서 리스테리아균 오염 가능성이 제기되어 예방적 차원의 리콜이 있었다.[10]
2021년에는 빵 가격 담합 혐의로 집단 소송의 피고가 되었으며, 이는 캐나다 경쟁 당국(Competition Bureau)의 조사 대상이다.[15]
4. 1. 2008년 리스테리아균 오염 사태
2008년, 메이플 리프 푸즈는 토론토 공장에서 생산된 육류 제품에서 리스테리아균이 검출되어 대규모 리콜 사태를 겪었다. 이 사건으로 22명이 사망하고 35명 이상이 질병에 걸리는 등 심각한 피해가 발생했다.[10] 당시 캐나다 식품 검사청(CFIA)의 검사 시스템 허점이 드러나면서 큰 논란이 되었다.메이플 리프 푸즈는 CEO 마이클 맥케인(Michael McCain)이 직접 사과 성명을 발표하고, 적극적인 리콜 조치를 취했으며, 이후 식품 안전 시스템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10]
4. 2. 2009년 추가 리콜
2009년, 해밀턴 공장에서 생산된 비엔나 소시지 제품에서 리스테리아균 오염 가능성이 제기되어 예방적 차원에서 리콜이 진행되었다.[10]4. 3. 2020년 이란 관련 발언 논란
2020년 1월, CEO 마이클 맥케인은 우크라이나 국제 항공 752편 격추 사건과 관련하여 회사 트위터 계정에 미국 정부를 비판하는 글을 올려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12] 일부에서는 맥케인의 발언을 "인간적"이라고 칭찬했지만,[14] 다른 한편에서는 회사 보이콧을 촉구하며 비판했고, 이는 회사 주가에 영향을 미쳤다.[11]4. 4. 2021년 빵 가격 담합 혐의
2021년, 메이플 리프 푸즈는 전 자회사인 캐나다 브레드(Canada Bread) 및 다른 회사들과 함께 빵 가격 담합 혐의로 집단 소송의 피고가 되었다.[16] 이 사건은 캐나다 경쟁 당국(Competition Bureau)의 조사 대상이 되었으며,[15] 이로 인해 회사의 재정 상태 및 평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언급되었다.[15]5. 경영 변화
메이플 리프 푸즈는 1991년 캐나다 패커스(Canada Packers)와 메이플 리프 밀스(Maple Leaf Mills)의 합병으로 탄생했다.[8] 캐나다 패커스는 1927년 토론토의 여러 육가공업체들의 합병으로 설립되었으며, 윌리엄 데이비스 컴퍼니(William Davies Company)가 중심이었다.[4] 1930년대부터 돼지고기 제품에 '메이플 리프(Maple Leaf)' 브랜드를 사용했으며, 영국으로의 돼지고기 수출을 통해 토론토가 "호그타운(Hogtown)"이라는 별명을 얻는 데 기여했다. 메이플 리프 밀스는 1961년 메이플 리프 밀링 컴퍼니 리미티드, 토론토 엘리베이터스 리미티드, 퓨리티 플라워 밀스 리미티드의 합병으로 설립되었다.[6]
1989년, 캐나다 패커스를 지배해 온 맥클린 가문은 회사 지분 매각 의사를 발표했다. 1990년, 지배 지분은 영국의 힐스다운 홀딩스(Hillsdown Holdings)로 넘어갔고, 힐스다운 홀딩스는 이미 메이플 리프 밀스를 소유하고 있었다.[7] 합병 후, 회사는 메이플 리프 푸즈로 이름을 바꾸었고, 데이비드 뉴턴(David Newton)이 CEO, 루이스 로즈(Lewis Rose)가 CFO를 맡아 구조 조정을 진행하여 도축장을 매각하거나 폐쇄했다.
1995년, 맥케인 푸즈(McCain Foods)의 전 공동 CEO였던 월리스 맥케인(Wallace McCain)이 온타리오 교직원 연금 계획(Ontario Teachers' Pension Plan)과 함께 회사를 인수했다.[9] 2003년에는 경쟁 육가공업체인 슈나이더 푸즈(Schneider Foods)를 인수했다.[6]
2014년, 메이플 리프 푸즈는 제빵 사업부 (캐나다 브레드(Canada Bread) 컴퍼니)를 매각하고,[31] 현재는 육류 및 식물성 단백질 제품 생산에 집중하고 있다.[6]
2018년 말, 회사는 런던(London, Ontario)에 새로운 가금류 공장을 건설하고 온타리오주 세인트 메리스, 브램턴, 토론토의 오래된 공장을 폐쇄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0]
2020년 1월, CEO 마이클 맥케인(Michael McCain)은 우크라이나 국제 항공 752편(Ukraine International Airlines Flight 752) 격추 사건과 관련하여 "워싱턴의 나르시시스트"를 비판하는 트윗을 올려 논란이 되었다.[12]
2021년, 회사는 빵 가격 담합 혐의로 조사를 받고 있음을 인정했으며,[15] 관련 집단 소송의 피고로 지명되었다.[16]
5. 1. CEO 교체
2022년 5월, 마이클 맥케인(Michael McCain)은 회장직을 유지하고 CEO 직책을 커티스 프랭크(Curtis Frank)에게 넘길 것이라고 발표했다.[17] 2023년 5월 11일, 커티스 프랭크가 CEO로 임명되었다.5. 2. 영국 사업
1996년, 메이플 리프 푸즈는 메이플 리프 베이커리 UK를 설립하여 영국 시장에 진출했다. 메이플 리프 베이커리 UK는 뉴욕 베이글 브랜드를 소유하고 있으며, 영국에서 생산되는 베이글의 90% 이상을 공급하고 있다.[6]2006년부터 메이플 리프 푸즈는 프랑스 크루아상 컴퍼니(French Croissant Company), 아방스(Avance), 하베스타임 베이커리(Harvesterime Bakeries), 라 포르나이아(La Fornaia), 버나드 매튜스 농장(Bernard Matthews Farms) 등을 인수하며 특수 제빵 사업을 확장했다.[6]
2008년, 메이플 리프 푸즈는 경쟁업체인 더 베이글 그룹(The Bagel Group) 인수에 실패했다. 이후, 메이플 리프 푸즈는 가격 담합 혐의로 공정거래청(Office of Fair Trading)에 제소되기도 했다.[6]
5. 3. Grupo Bimbo에 캐나다 브레드 매각
2014년, 메이플 리프 푸즈는 캐나다 브레드(Canada Bread)의 지분 90%를 다국적 기업 Grupo Bimbo에 18.3억캐나다 달러에 매각했다.[31] 이를 통해 메이플 리프 푸즈는 단백질 전문 회사로 전환하는 계기를 마련했다.참조
[1]
웹사이트
Senior Leadership Team ! Who We Are – Maple Leaf Foods
https://www.maplelea[...]
2020-04-10
[2]
웹사이트
Maple Leaf Foods
https://www.maplelea[...]
Maple Leaf Foods
2020-05-11
[3]
웹사이트
Company Profile for Maple Leaf Foods Inc (CA;MFI)
https://web.archive.[...]
2008-10-09
[4]
웹사이트
Special Commemorative Pullout Section - Marking the 20th anniversary of Beardmore closing
http://images.ouront[...]
The New Tanner
2006-09-14
[5]
웹사이트
http://www.lib.uwo.c[...]
[6]
웹사이트
Our History
https://web.archive.[...]
2016-01-29
[7]
서적
Kill and Chill: Restructuring Canada's Beef Commodity Chai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2001
[8]
뉴스
Losing the gristle
1991-05-04
[9]
웹사이트
Maple Leaf Foods Acquires Grace Baking Company to Expand its Artisan Bread Product Line
http://www.mapleleaf[...]
2002-10-08
[10]
웹사이트
Maple Leaf Foods to build new London plant, close three others in Ontario
https://www.cp24.com[...]
CP24
2018-11-26
[11]
뉴스
Maple Leaf Foods boss attack on Trump pits ethics against shareholder value
https://www.cbc.ca/n[...]
CBC News
2020-01-14
[12]
뉴스
'Livid' Maple Leaf Foods CEO takes to Twitter to express frustration over Iran plane crash
https://globalnews.c[...]
Global News
2020-01-13
[13]
뉴스
Wallace McCain, food-business giant, dies at 81
https://www.theglobe[...]
2011-05-14
[14]
뉴스
Michael McCain, President and Chief Executive Officer of Maple Leafs Foods Inc. Contributors Opinion Let's give Michael McCain, CEO of Maple Leaf Foods, a break
https://www.thestar.[...]
The Toronto Star
2020-01-14
[15]
웹사이트
Management's Discussion and Analysis
https://www.maplelea[...]
[16]
뉴스
Canada Bread denies price-fixing scheme in court filing, points finger at Maple Leaf
https://toronto.city[...]
City News
2024-07-25
[17]
뉴스
Michael McCain steps down as CEO of Maple Leaf Foods
https://www.theglobe[...]
2022-05-04
[18]
웹사이트
Five Generations of Goodness
https://web.archive.[...]
[19]
뉴스
Maple Leaf embracing meatless alternatives as plant-based protein goes 'mainstream' | Financial Post
https://business.fin[...]
2019-04-09
[20]
웹사이트
Information archivée dans le Web
http://publications.[...]
2020-08-17
[21]
웹사이트
maple-leaf-foods-expanding-with-100m-tempeh-plant
https://www.foodmanu[...]
2021-01-13
[22]
뉴스
Maple Leaf steps up recall
National Post
2008-08-25
[23]
웹사이트
CFIA recall notice and list of affected products
https://web.archive.[...]
[24]
웹사이트
Maple Leaf CEO Michael H. McCain Responds to Determination of Link to Plant
https://archive.toda[...]
[25]
웹사이트
Deadly listeriosis outbreak traced to Maple Leaf meats
http://www.canada.co[...]
[26]
웹사이트
Inspectors failed to adopt more rigorous U.S. measures
https://web.archive.[...]
2008-08-27
[27]
웹사이트
Confirmed deaths rise in listeriosis outbreak
https://www.ctvnews.[...]
2008-08-29
[28]
웹사이트
Maple Leaf Foods 2009 Recall
https://archive.toda[...]
2009-08-04
[29]
웹사이트
Maple Leaf UK acquires Bernard Matthews site - British Baker
https://bakeryinfo.c[...]
[30]
웹사이트
Bagel wars - boss of company with 90 per cent of market in 'price-fix' scandal - Video
https://www.mirror.c[...]
Sunday Mirror
2008-12-07
[31]
뉴스
Canada Bread settles years-long price-fixing allegations, to pay $50-million fine
https://financialpos[...]
Financial Post
2024-07-25
[32]
웹사이트
Gone but not forgotten - Tremere
http://gonebutnotfor[...]
gonebutnotforgotten.ca
2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